그리스 경제 상황 막장 국가인 이유
바이런같은 시인처럼 그리스가 유럽문화의 기원이라 도와준 사람들도 있었지만 열강들은 그런 순수한 마음으로 독립을 지원했을리 없고 열강의 이권을 위해서 독립을 지원한것
그리스의 초대왕인 오톤왕부터 그리스사람이 아닌 독일출신왕
당연히 그리스인들에게 지지도 못받고
그리스 실정도 몰라서 무리하게 그리스에 자유주의
보급하다가 망함
오톤왕이 물러나고 즉위한 왕도 그리스인이 아닌 덴마크사람.
그리스를 독립시켜준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자국 왕족을 그리스왕위에 오르지못하게 조약을 맺었는데
자연스럽게 그리스 사람들은 영국파 프랑스파 러시아파로 나누어서 국정혼란
그리스같은 전근대적인 나라에 선거제나 입헌군주제를 도입해서 1864년에서 1910년 사이에 21번의 총선이 열렸으며, 70개의 정권이 들어섬.
그나마 오래 지속된 내각이 겨위 1년반이니 혼란에 혼란만 가득참.
그리스는 고대부터 올리브같은 농산품으로 먹고사는 국가였는데 영농기술이 전혀 발달되지 않아서
고대 아테네나 스파르타 시절이나 1차세계대전 시절이나 변한게없었음.
1차대전 이후 저개발 국가 테크트리인 모직물산업에 투자해보지만 터키독립전쟁과 세계대공황으로 경제가 망하면서 그리스가 Ec에가입하는 1973년까지 마땅한 산업하나 없던 나라였음.
그리스 문제에 대해 썼다면서 그리스 정치 막장성만 애기하는데 이게 사실임
애초에 그리스는 독립부터 열강지원 받으면서 파벌이 생기고 그 파벌이 사실상 지금까지 이어졌음.
그리스 내각이 수십번바뀌고 군사쿠데타가 수시로 일어나고 그리스 왕실이
틈만나면 쫒겨날정도로 정치가 혼란스러웠음. 정치가 혼란스러우니
자연스럽게 산업 발전이나 다른 부차적인문제는 해결불가능할정도임
그리스경제도 독립이후 변한건 사실상 거의없고 1950년대이후 백색가전 손대다가 그나마도 쇠퇴하고 1973년 EC (현EU)빨로 서비스업과 농업밖에 없는국가고
복지나 탈세는 부차적인 문제로 그리스 문제의 펙트는 별다른 산업 발달도 없고 독립이후
영국때문에 국가명맥 이어온 국가가 유럽연합으로
꿀빨다가 벌어진 문제라고 생각함.